본문 바로가기
배알티스트의 교회음악 이야기

중세 교회음악(6-15세기) - 다성음악의 등장(2)

by Baertist 2025. 3. 14.

아르스 노바(Ars Nova) 시대의 교회음악 (기욤 드 마쇼, 필리프 드 비트리)


14세기 초반부터 중반까지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전한 아르스 노바(Ars Nova, “새로운 예술”)는 중세 음악에서 중요한 변화를 가져온 음악 운동이었다. 이 시기의 음악은 기존의 아르스 안티쿠아(Ars Antiqua, “오래된 예술”)와 비교하여 더욱 정교한 리듬과 화성을 갖추었으며, 특히 교회음악에서도 새로운 음악 형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아르스 노바는 음악 기보법의 혁신을 통해 리듬과 음가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도록 만들었으며, 이는 교회음악뿐만 아니라 세속음악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 아르스 노바의 등장 배경

(1) 아르스 안티쿠아에서 아르스 노바로의 변화

• 13세기까지의 교회음악은 주로 노트르담 악파에서 발전한 다성음악(Polyphony)과 모테트(Motet) 형식이 중심이었다.
• 그러나 기존 음악은 리듬적으로 단순하고 제한적인 표현 방식이 많아, 보다 정교한 리듬과 화성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 14세기 초, 필리프 드 비트리(Philippe de Vitry)는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하여 “아르스 노바”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새로운 음악 스타일의 기초를 마련했다.

(2) 음악 기보법의 발전과 리듬의 혁신

• 아르스 노바 시대의 가장 큰 혁신 중 하나는 기보법의 발전이었다.
• 필리프 드 비트리는 기존보다 더 세밀한 리듬 기보가 가능한 이중 분할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 이를 통해 작곡가들은 보다 다양한 리듬 패턴을 사용하여 음악적 표현력을 확장할 수 있었다.



2. 필리프 드 비트리(Philippe de Vitry, 1291~1361)와 아르스 노바의 이론적 정립

(1) 『아르스 노바(Ars Nova)』 저술

• 필리프 드 비트리는 1322년경 『아르스 노바(Ars Nova)』라는 논문을 저술하여, 새로운 음악 스타일을 이론적으로 정립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모테트(Motet) 형식을 더욱 발전시키는 리듬 이론과 기보법을 설명하였다.

(2) 리듬과 음악적 표현력의 확장

• 비트리는 3분법(Perfect) 위주의 전통적 리듬에서 벗어나, 2분법(Imperfect)의 사용을 허용하였다.
• 이는 작곡가들이 보다 유연한 리듬과 정교한 음악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교회음악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3) 아르스 노바 모테트의 발전

• 비트리는 모테트(Motet) 형식을 더욱 발전시켜, 다성음악이 보다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 교회음악에서 모테트는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성가대의 연주 방식도 더욱 정교해졌다.



3. 기욤 드 마쇼(Guillaume de Machaut, 1300~1377)와 아르스 노바 교회음악

(1) 기욤 드 마쇼의 생애와 영향

• 기욤 드 마쇼는 14세기 프랑스의 가장 중요한 작곡가이자 시인이며, 아르스 노바 스타일의 교회음악과 세속음악을 모두 발전시킨 인물이다.
• 그는 성직자로서 교회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성가 및 미사곡을 작곡하여 교회음악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2) 『노트르담 미사(Messe de Nostre Dame)』 – 최초의 다성 미사곡

• 기욤 드 마쇼의 대표적인 교회음악 작품은 “노트르담 미사(Messe de Nostre Dame)”이다.
• 이 작품은 역사상 최초로 하나의 작곡가에 의해 완성된 다성 미사곡으로 평가받는다.
• 기존의 미사곡들은 여러 작곡가들이 각각의 부분을 담당하는 방식이었으나, 마쇼는 전체 미사 전례를 하나의 통일된 음악적 구조로 구성하였다.
• 키리에(Kyrie), 글로리아(Gloria), 크레도(Credo), 상투스(Sanctus), 아뉴스 데이(Agnus Dei), 이테 미사 에스트(Ite missa est)의 여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이후 미사곡 작곡의 전형이 되었다.

(3) 마쇼의 음악적 특징

• 정교한 리듬 사용: 비트리의 리듬 혁신을 기반으로, 더욱 다양한 리듬 패턴을 활용하여 음악적 유연성을 확대하였다.
• 다성음악의 발전: 각 성부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면서도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구조를 사용하였다.
• 멜로디와 화성의 세련미: 기존의 단조로운 다성음악과는 달리, 보다 아름답고 감각적인 선율과 화성을 활용하였다.



4. 아르스 노바 시대의 교회음악이 후대에 미친 영향

(1) 르네상스 교회음악으로의 발전

• 아르스 노바의 음악적 혁신은 르네상스 교회음악의 기초를 마련하는 역할을 했다.
• 기보법의 발전과 리듬의 다양화는 후대 작곡가들이 더욱 정교한 음악을 만들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2) 미사곡 작곡 방식의 변화

• 마쇼의 “노트르담 미사”는 이후 르네상스 시대의 미사곡 작곡 방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 15세기 이후 작곡가들은 전체 미사 전례를 하나의 음악적 흐름으로 작곡하는 방식을 정립하게 되었다.

(3) 다성음악의 확립

• 아르스 노바를 통해 다성음악의 표현이 더욱 정교해지면서, 이후 팔레스트리나(Palestrina), 조스캥 데 프레(Josquin des Prez) 등의 르네상스 작곡가들이 이를 더욱 발전시켰다.



결론


아르스 노바 시대는 교회음악의 새로운 장을 연 중요한 시기였다.
• 필리프 드 비트리는 이론적으로 음악을 정리하고, 기보법을 발전시켜 보다 정교한 리듬과 화성을 가능하게 했다.
• 기욤 드 마쇼는 최초의 다성 미사곡을 작곡하며, 미사곡 작곡 방식의 변화를 주도했다.
• 이 시대의 음악적 혁신은 르네상스 교회음악으로 이어져, 서양 음악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중세 음악은 단순한 종교적 기능을 넘어 하나의 예술적 표현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이후 서양 음악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