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악에서 저음과 고음이 잘 나오게 하려면?
성악을 처음 배우는 분들이 자주 하시는 고민 중 하나가 바로 이겁니다:
“저음은 너무 작고 답답하고…”
“고음은 목이 잠기고 찢어질 것 같아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 올바른 발성과 호흡 훈련만 한다면,
✅ 저음도 안정되고, 고음도 자연스럽게 올라갑니다.
✅ 1. 저음이 잘 안 나오는 이유 & 해결법
📉 저음 문제의 원인
잘못된 습관 문제점
억지로 눌러 내림 | 소리가 퍼지고 텁텁해짐 |
입을 작게 벌림 | 공명이 막혀 소리의 울림이 약해짐 |
호흡 압력이 부족 | 낮은 소리도 지지 없이 흔들림 |
긴장된 목소리 | 음정이 불안하고 소리의 선명도가 떨어짐 |
🎯 저음을 위한 팁
✅ 턱과 목에 힘을 빼세요
- 저음일수록 몸이 더 이완되어야 합니다.
✅ 가슴·목보다 인두(입천장 뒤쪽)에 울림을 집중
- 지나치게 아래로 ‘내리지’ 말고, 소리를 위쪽 공간에 띄우듯 내보내세요.
✅ 복부 지지를 유지하세요
- 낮은 소리도 지지가 없으면 불안정해집니다.
- 저음에서도 호흡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게 핵심!
✅ 말하듯 자연스럽게
- 저음은 말소리와 가까워야 합니다.
- 너무 힘을 주거나 꾸미려 하지 마세요.
✅ 2. 고음이 잘 안 나오는 이유 & 해결법
📈 고음 문제의 원인
잘못된 습관 문제점
목으로 밀어붙이기 | 성대 손상, 고음 불안정 |
턱을 치켜들고 소리 냄 | 공명 차단, 목 긴장 |
숨이 부족함 | 고음 지속 불가능 |
공명을 아래에 두고 있음 | 소리가 올라가지 못함 |
🎯 고음을 위한 팁
✅ 호흡을 깊고 탄탄하게
- 고음은 강한 지지가 필요합니다.
- 배(횡격막)를 단단하게 고정하고 공기를 위로 밀어주세요.
✅ 소리를 ‘띄운다’는 이미지
- 공명을 이마, 콧등, 머리 위쪽으로 집중하면 소리가 훨씬 편하게 올라갑니다.
✅ 입 모양은 세로로, 입천장은 높게
- 고음은 입이 크고 열려야, 소리가 넓게 퍼질 수 있어요.
✅ 목은 항상 편안하게
- 목과 어깨, 턱이 긴장되면 고음은 막힙니다.
- 오히려 몸 전체는 고정하고, 목은 자유롭게 놔두세요.
✅ 3. 공통적으로 꼭 필요한 3가지
핵심 요소 설명
💨 호흡 지지 | 고음·저음 모두 탄탄한 복식호흡과 복부 지지가 필수 |
🧍♂️ 바른 자세 | 허리와 등은 세우고, 턱·어깨는 이완 |
🔊 공명 활용 | 저음은 깊이, 고음은 높이와 밝음 – 공명 이동 능력이 중요 |
📌 저음이든 고음이든, 결국 소리는 성대가 아니라 ‘공기와 울림’으로 만들어야 자연스럽고 건강합니다.
✅ 4. 실전 연습법 추천
🔸 5음계 스케일 (도–레–미–파–솔–파–미–레–도)
- 낮은 음부터 시작해 천천히 위로 확장
- 저음은 깊고 부드럽게, 고음은 밝고 띄우듯
- 모음: “아”, “오”, “이” 번갈아 사용해 공명 위치 훈련
🔸 ‘음~’으로 시작하는 허밍 발성
- 공명을 코와 이마 쪽으로 모으는 훈련
- 고음을 위한 ‘머리 공명’ 감각 잡기에 좋음
🔸 롱톤 연습
- 한 음을 8초 이상 길게 유지
- 숨과 지지, 그리고 공명 지속력을 동시에 키움
✅ 결론 – “저음과 고음, 둘 다 몸의 조율로 해결할 수 있다”
✔️ 저음은 억지로 내리는 소리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아래로 흐르게 하는 소리입니다.
✔️ 고음은 힘으로 올리는 소리가 아니라,
공명과 지지로 띄우는 소리입니다.
두 소리 모두
👉 복식호흡,
👉 지지,
👉 공명,
👉 이완된 몸이 바탕이 되어야 비로소
자연스럽고 건강하게 낼 수 있습니다.
🎶 “좋은 소리는, 목이 아니라 몸 전체가 만든다.”
고음과 저음 모두 아름답게 울리는 그 날까지,
오늘도 바른 자세로 한 음 한 음 쌓아가 보세요. 😊